경상북도 자카르타사무소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주요산업

산업 개황

  • 2024년 GDP 구성: 제조업(18.98%) 1위, 도소매업(13.07%), 농림어업(12.61%), 건설업(10.09%), 광업(9.15%) 순
  • 2024년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광업의 GDP 기여 비중 소폭 감소
  • 신수도(IKN) 개발 추진 및 인프라 프로젝트 증가로 건설업 비중 증가
제조업
  • 2024년 한 해 동안 4.43% 성장
  • 기초 금속 분야 크게 성장하며 제조업 성장세 견인
  •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025년 3월 52.4(확장 국면)에서 4월 46.7로 급락, 위축 국면 진입
  • 급락 원인: 국내외 수주 감소 및 생산량 축소
  • 2025년 초 약 1만 8천 명 규모의 제조업 부문 실직 발생, 전년 동기 대비 해고 규모 증가
도소매업
  • 2024년 4.86% 성장
  • 2025년 1분기부터 자동차 판매 부진을 중심으로 둔화세 감지
  • 2025년 3월 자동차 판매량: 전년 대비 5.1% 감소한 70,892대 기록
  • 판매 감소 원인: 라마단 및 이드 기간 필수품 가격 상승으로 자동차 구매 연기, 루피아 약세 복합 작용
농림어업
  • 2024년 0.67% 완만한 성장세
  • 농업 분야 외국인직접투자 완만한 성장세
  • 2025년 전망: 국가경제위원회(DEN), 정부의 무상 급식 프로그램이 농업 부문 활성화 및 국가 빈곤율을 9%에서 5.8%로 낮추는 데 기여 가능성 제시

주요 산업별 현황

기초 금속
  • 풍부한 광물 자원 보유, 기초 금속 산업은 국가 경제의 핵심적 역할
  • 광물 수출 금지 시행으로 기초 금속 산업의 중요성 증대
  • 2024년 철강(HS 72) 수출: 258억 달러, 전년 대비 3.38% 감소, 전체 비석유·가스 수출의 11%
  • 니켈 제품 수출: 2023년 68억 달러에서 2024년 79억 달러로 17% 증가, 전체 비석유·가스 수출의 3%
  • 귀금속 수출: 75억 달러에서 88억 달러로 18% 증가
  • 2025년 주요 기업 목표:
    -PT ANTAM: 금 45톤 판매 목표
    - PT 아만 미네랄 등 구리 정광 생산 업체: 제련소 추가 가동 준비, 2025년 판매량 일시 감소 후 2026년부터 회복세 예상
    - PT 티마: 금속 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2025년 주석괴 2만 1,500톤 생산 목표
  • 2024년 기초 금속 부문 외국인직접투자(FDI): 약 135억 달러, 전년 대비 21% 증가
제약
  •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이니셔티브의 7대 주요 산업 중 하나, 제조업·식음료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비중(11%)
  • 산업 성장 전망: 인구 및 소득 증가, 건강보험 시행 등 펀더멘털 개선
  • 의약품 원료의 90% 수입 의존
  • 2022년부터 국산부품사용비중(TKDN) 의무화 규제 강화: 25%에서 품목 관계없이 40%로 강화
  • 2026년부터 의약품 할랄인증 표기 의무화 추진 예정
  • 현재 자국 생산 가능한 의약품 원료 22종에 대한 생산 제안 절차 진행 중
  • 목표: 의약품 자급률 제고 및 산업 경쟁력 강화
섬유
  • 전통 강세 산업, 2024년 연간 수출액 119억 6천만 달러(전체 제조업 수출의 6%)
  • 노동 집약적 산업으로 고용 창출 효과 큼, 2024년 종사자 수 397만 명
  • 2024년 섬유 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
  • 2024년부터 2025년 초까지 대규모 구조조정 직면
  • 구조조정 원인:
    - 해외 밀수입 섬유 제품 급증, 자국 제품의 낮은 경쟁력, 섬유 수입 완화 정부 정책(무역부령 No. 8/2024 등)
  • 2025년 초 기준 약 60개 섬유 공장에서 25만 명의 노동자 해고
  • PT Sritex 파산: 동남아 최대 섬유공장 중 하나, 2024년 10월 파산 선고, 2025년 3월 1일부터 지역 공장 폐쇄 시작, 1만여 명 근로자 해고
도소매 유통
  • 2024년 도소매업 GDP 비중: 13% (2023년 12.9% 대비 소폭 상승)
  • 2024년 민간 소비 감소세, 분기별 성장률 연중 내내 5% 미달
  • 민간 소비는 2024년 기준 GDP의 54.04%, 핵심 성장 동력
  • 중산층 인구 감소: 2019년 5,730만 명에서 2024년 4,780만 명으로 감소
  • 정부의 부가가치세(VAT) 인상 계획 변경:
    -당초 모든 상품에 1%P 인상 예정, 최종적으로 수입 자동차 등 사치품에 한해 12% 세율 적용 결정
관광
  • 2024년 국제 관광객 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의 86.3% 회복
  • 연간 방문객 수: 1,390만 명, 전년 대비 19% 증가
  • 발리를 통한 입국 비중 가장 높음
  • 방문객 국적별 순위: 말레이시아, 호주, 싱가포르
  • 체류 기간이 긴 국가 순위: 러시아, 파키스탄, 중국
  • 전체 국제 관광객 중 아시아 및 중동 국적 방문객 비중: 63.83%
  • 2025년 국제 관광객 유치 목표: 1,460만~1,600만 명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