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자카르타사무소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개요

  • Why, Indonesia?

  • 경제일반

왜 인도네시아인가?

▸ 많은 인구와 풍부한 부존자원을 보유한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개발 도상국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평가
▸ 블룸버그는 2030년 인도네시아는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대국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

□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 조코위대통령 집권 2기 취임식때 경제성장 목표 제시
    - 독립 100주년이 되는 2045년, GDP 7조달러, 국민소득 2만 5천불
    ※ 2019년 GDP 1조 1,260억달러, 1인당 국민소득 4,175달러
  ■ 세계은행 ‘아세안리포트 2030’ 예측
    - 연평균 경제성장율 5~6% 유지시 : GDP 3억달러, 1인당 국민소득 1만불 상회
    - 아시아에서 중국, 인도에 이은 세 번째 경제대국

      7a6ada92bba2480340463fe1dca3936d_1598154857_0392.jpg

  ① 세계 주요 원자재 생산지

    ▸ 광물에서 농업자원에 이르기까지 세계적 수준의 생산량, 매장량 보유
    ▸ 팜오일, 지열에너지 부분 전세계 1위

분야

고무

석탄

지열

팜오일

코코아

주석

니켈

세계순위

2(생산)

2(수출)

1(매장)

1(생산)

2(생산)

2(생산)

4(매장)

7(생산)

수량

2.6백만톤

2.6억톤

30MW

2천만톤

84만톤

7만톤

3억톤

105

지역

칼리만탄

칼리만탄

자바

칼리만탄

슬라웨시

수마트라

슬라웨시

칼리만탄

수마트라

수마트라

수마트라

수마트라

수마트라

수마트라

수마트라

 

  ② 풍부한 노동력, 높은 젊은 인구 비중

    ▸ 15~64세 노동가능인구가 전체 인구의 68.1% 차지(한국 46.4%)
    ▸ 최근 지속적인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인건비 경쟁력은 다소 하락
    ※ 자카르타 인근 최저임금 : 월 40만원(기업부담 보험료 포함) 정도

  ③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중산층 시장

    ▸ Economist지는 인도네시아 중산층 규모가 말레지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중산층을 모두 합한 것보다 큰 규모로 추산
    ▸ 연소득 1백만달러 이상 자산가가 3만명, 아시아에서 Super Rich 증가율이 가장 높음

  ④ ASENA시장 및 할랄시장 진출 교두보

    ▸ ASEAN의 중심 역할 수행 : ASEAN 전체 GDP 및 인구의 약 40%차지
      - 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15.12월)으로 인도네시아 영향력 증가
    ▸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 보유 : 인구의 88%(2억 3천만명)
      -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할랄인증으로 다른 이슬람국가 교차 인증 가능

□ 인도네시아 경제 특성

  ■ 연평균 5~7%의 성장과 지정학적 위치로 ‘Post China’ 부상
    - 세계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도를 제외하고 5% 이상의 빠른 경제 성장
    - 아세안(6.4억명), 중국(13.8억명), 인도(13.1억명)를 연결하는 경제 요충지
  ■ 외국자본 유입 및 사회인프라 구축이 경제성장을 견인
    - 연 300억 달러 규모 신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 "18년 290억 달러
    - 현 정부는 사회인프라 구축을 핵심 경제 목표로 추진
      ※ ‘19년까지 도로 2,650km/철도 3,258km/신공항 15개/발전소 35GW 확충
  ■ 중산층의 급속한 증가 및 현대식 소비패턴의 확산
    - 식품, 휴대폰, 가전제품, 자동차 수요 증가
    - 대형유통망, 글로벌 프랜차이즈 진출 가속화로 소비패턴 고급화

□ 인도네시아 시장 특성

  ① 가격이 우선시 되는 시장
    ▸ 인구중 빈곤층(80%), 중류층(15%), 상류층(5%)의 빈부가 큰 나라로 품질보다는 가격을 우선시 하는 저소득 소비계층이 많음
  ② 화교 자본이 상권을 장악
    ▸ 인구의 3% 정도(약 6백만명)의 화교가 경제권 장악
    ▸ 1967년 수하르토 집권이후 공직진출 제한으로 대부분 경제활동 추구
  ③ 자바섬․자카르타 중심의 상권
    ▸ 자카르타가 있는 자바섬에 인구의 절반인 1억 2천만명 거주
    ▸ 소비시장도 자바섬이 3/4 이상을 차지
  ④ 르바란이 최대의 구매시즌
    ▸ 르바란 : 라마단(‘19.5.3~6.5) 금식기간이 끝나는 인니 최대명절
    ▸ 대부분 직장이 1~2주간 휴무와 함께, 모든 근로자에게 보너스 지급
      - 설날같이 민족대이동과 선물 등 소비재 구매수요가 연중 가장 큰 시즌임
  ⑤ 유니콘 천국
    ▸ 평균연령 29세의 2.7억명의 잠재력이 큰 내수시장 보유
    ▸ 물류․생활밀접형 스타트업 잇단 창업과 성공신화
    ▸ 신용카드 발급율이 3%에 불과, 간편결제서비스 등 핀테크 잠재수요 풍부

7a6ada92bba2480340463fe1dca3936d_1598156242_7029.PNG 

  < ASEAN 경제에서 인도네시아 >

구분

ASEAN

인도네시아

베트남

면적

4,481천㎢

1,905천㎢(43%)

331천㎢(7%)

인구

64,200만명

26,300만명(41%)

9,400만명(15%)

주요도시(만명)

 

자카르타(1,065), 수라바야(292),
메단(250), 반둥(244)

하노이(722), 호치민(815),
하이퐁(196), 다낭(103)

GDP(‘17)

27,700억불

150억불(36%)

2,414억불(9%)

1인당 GNP

4,034(‘16)

4,143(‘18)

2,460(‘18)

총수출액

13,137억불(‘17)

1,817억불(‘18)

2,447억불(‘18)

한국 수출액

1,002억불(‘18)

85억불(‘18)

475억불(‘18)

총수입액

12,415억불

1,712억불(‘18)

2,375억불(‘18)

한국 수입액

596억불(‘18)

112억불(‘18)

182억불(‘18)

경제 성장율

10~’16

5.10%

5.50%

6.00%

18

 

5.20%

6.30%

물가상승율(‘18)

 

3.60%

4.80%

실업율(‘18)

 

5.30%

4.00%

한국 관광객

유출

727만명

38만명

242만명

유입

214만명

23만명

33만명

한국교민(‘17)

316,618

31,091

124,458

외국인투자(‘16)

990억불

35.2억불

126억불


  ▶ 인도네시아는 수출입에 비해 GDP 규모가 훨씬 큰 내수시장 위주의 경제구조

  ▶ ASEAN 전체 경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아세안의 중심국가임

    ⇒ Post China, Post Vietnam 으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시장임

인도네시아 경제일반

▸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서도 꾸준히 5%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 많은 천연자원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국가임

□ 경제현황

  ■ 주요 경제지표
    - 2억 7천만명에 달하는 내수시장과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덕분에 2010~2012년 6%대의 성장을 지속하였으나
    - 2015년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다시 4%대로 경제 성장률이 떨어졌지만, 2016년부터 5%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음.

구분

2014

2016

2018

2019

GDP(억불)

8,886

9,410

10,160

11,260

1인당 GDP()

3,524

3,635

3,927

4,175

총수출액

1,763

1,368

1,710

1,675

총수입액

1,782

1,356

1,798

1,707

외환보유고

1,119

1,004

1,206

1,227

경제성장율

5.00%

5.00%

5.20%

5.02%

물가상승율

6.40%

3.50%

3.20%

3.49%

실업율

5.90%

5.60%

5.30%

5.01%

환율(달러당)

11,865

13,308

14,237

14,100

 ​

  ■ 금융

    - (환율)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등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한때 15,000선 까지도 상승하였으나, 2019년 미국 연방기금 금리인하 및                 인도네시아 금융 투자에 대한 상대적 매력도 등으로 14,100대에서 안정적 흐름 유지

    - (금융)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급격한 루피아 환율 상승에 대응하여 2018년기준금리를 4.25%에서 6%로 대폭 인상했으나, 2019년 

              세계경제의 둔화 속에서 국내 경제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차례에 걸쳐 0.75% 인하(5.25%)

  ■ 투자
    - (2019 상반기) 외국인투자 FDI는 213조루피아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
    - (2019 상반기) 내국인투자는 183조루피아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

외국인 투자

전기,수도,가스 29억불 / 창고,유통,통신 26억불 /
부동산,빌딩 16억불 / 금속,장비 15억불 / 광업 13억불 순

싱가폴 34.3억불 / 일본 23.6억불 / 중국 22.9억불 /
홍콩 13.1억불 / 말레지아 10.5억불 / 한국 5.4억불(8)

내국인 투자

운수창고통신 33조루피아 / 건설 31조루피아 / 작물조림 21조루피아 / 식품 21조루피아 / 전기가스수도 14조루피아 순

    <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 전체 투자 추이(단위 : 조루피아)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내국인 직접투자

128.2

156.1

179.5

216.2

262.3

328.6

외국인 직접투자

270.4

307

365.9

396.6

430.5

392.7

총투자

398.6

463.1

545.4

612.8

692.8

721.3

증가율(%)

27.30%

16.20%

17.80%

12.40%

13.10%

4.1%

    < 인도네시아 해외 직접투자 국가별 순위(단위 : 십억불) >

순위

2016

2017

2018

1

싱가포르

9.2

싱가포르

8.4

싱가포르

9.2

2

일본

5.4

일본

5

일본

5

3

중국

2.7

중국

3.4

중국

2.4

4

홍콩

2.2

홍콩

2.1

홍콩

2

5

네덜란드

1.5

한국

2

말레이시아

1.8

6

미국

1.2

미국

2

한국

1.6

7

버진아일랜드

1.2

네덜란드

1.5

미국

1.2

8

말레이시아

1.1

말레이시아

1.2

버진아일랜드

1.0

9

한국

1.1

모리셔스

1.1

네덜란드

0.94

10

모리셔스

0.57

버진아일랜드

0.88

호주

0.59

 

□ 무역현황

  ■ 수출입(2018)
    - 수출 1,710억 달러, 수입 1,798억 달러
    - 수출․수입 모두 석유가스와 비석유가스가 주요 품목 상위 1,2위 차지

    < 연도별 무역수지(억불) >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총교역액

3,542

2,930

2,808

3,258

3,508

수출(증가율)

1,759

1,503(-14.6%)

1,451(-3.9%)

1,688(16.9%)

1,710(1.3%)

수입(증가율)

1,782

1,427(-19.9%)

1,356(-4.9%)

1,569(16.2%)

1,798(14.6%)

무역수지

-22

76

95

188

-88

    < 인도네시아의 주요 수출입 품목 > (2019년 8월 누적 기준, 단위 : 억 달러)

순위

수출 품목
(HS 2단위)

금액

수입 품목
(HS 2단위)

금액

1

광물성 연료(27)

150.5

보일러·기계류·부분품(84)

175.9

2

식물성 유지 등

108.5

전자기기·부분품

126

3

전자기기·제품

55.5

플라스틱과 그 제품

58.4

4

보석류

47

자동차 및 부품

47.5

5

고무와 그 제품

41.3

철강 제품

23.2

  ■ 주요 교역 대상국
    - 중국, 일본, 미국, 싱가포르가 전체 교역액의 약 50% 차지
    - 총 교역액 기준 한국은 7위 교역 대상국

    < 인도네시아의 주요 교역 대상국 > (단위 : 억 달러)

순위

수출

수입

국가

금액

국가

금액

1

중국

269.1

중국

449.4

2

일본

193.9

일본

180.5

3

미국

184.5

싱가포르

160.2

4

인도

135.3

태국

110.0

5

싱가포르

123.7

미국

102.5

6

한국

72.7

한국

90.4

7

태국

68.5

말레이시아

87.8

8

필리핀

68

호주

60.5

9

말레이시아

61.6

인도

49.6

10

대만

46.2

독일

40.0

  ■ 무역수지 적자
    - (원인)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이탈, 중국 경제 침체, 제조업․인프라 확충에 따른 원부자재 수입 증가, 석유 및 가스 분야 수입 증가
    - (수입억제 정책) 수입물품 선납 법인세율 인상, 전자상거래 면세한도 하향, 원자재 수입 시 수입금액을 루피아화로 지불
    ※ 석유제품 수입이 적자가 가장 큰 부분 : 원유를 수출하고 정제유 수입

□ 원자재

  ■ 석유산업

확인 매장량

32억배럴(세계 29)이나 가채년수는 9.2년에 불과
  
- ‘0755억배럴 이었으나 석유 고갈 및 투자부족으로 급감
  
매장량 30위권중 가채년수가 10년이하는 인니, 멕시코 2개국에 불과

일일 생산량

94.9만배럴(세계 21)로 전 세계 생산량의 1%차지
  
- ‘07~’10년간은 약 100만배럴 생산했으나 이후 생산량 감소

일일 소비량

165.2만배럴(세계 13)로 석유 순수입국임
  
- 석유 제품 정제 능력(111만배럴)과 생산량(88만배럴)이 부족



  ■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2.9조㎥(세계 14)로 가채년수는 42.9
  
인접국(조㎥/가채년수) : 호주 3.6/32, 말레지아 2.7/35, 베트남 0.6/68

일일 생산량

680억㎥(세계 12)이고 연간 소비량은 392억㎥(세계 25)
  - ‘10
870억㎥ 생산(당시 8)한 이래 지속 감소 중

일일 소비량

▸일본이 30%(89억㎥), 말련싱가폴이 27%, 한국이 16%(49억㎥, 한국기준 5위 수입선)에 수출
  
※ 2005년까지는 세계 1위 천연가스 수출국이었으나 현재 5위로 하락



  ■ 광물자원
    - (생산량 기준) 석탄 5위, 주석 2위, 니켈 2위, 금 8위, 동 11위
    - (수출량 기준) 석탄 1위, 주석 1위, 니켈 3위, 동 6위

분야

고무

석탄

지열

팜오일

코코아

주석

니켈

세계순위

2(생산)

2(수출)

1(매장)

1(생산)

2(생산)

2(생산)

4(매장)

7(생산)

수량

2.6백만톤

2.6억톤

30MW

2천만톤

84만톤

7만톤

3억톤

105

지역

칼리만탄
수마트라

칼리만탄
수마트라

자바
수마트라

칼리만탄
수마트라

슬라웨시
수마트라

수마트라

슬라웨시
수마트라

칼리만탄  수마트라

※ 2014년부터 원광석 수출 금지제 운영

  ■ 산림자원
  - 한반도의 약 9배 면적인 국토의 64%인 124만㎢가 열대산림 자원임
    ※ 브라질과 콩고에 이은 세계 3위의 열대림 보유, 세계 열대림의 10% 차지
  - 동남아 최대 목재 산업국으로, 고용인력 400만명, 전체 수출액의 15% 점유
  - ‘15년과 ’19년 엘니뇨 현상으로 수마트라․칼리만탄 지역 이탄지 대형산불 발생

□ 인프라

  ■ 현황
    - 18,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리적 특성과 부족한 자본, 경제성장에 따른 물동량 급증으로 인프라 사정 열악
    - 2018년 인도네시아 물류비용은 전체 GDP의 23.5%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제품가격의 평균 27%가 물류비용으로 지출(선진국 7~10%)
  ■ 조코위 1기 정부 인프라 확충 정책
    - 해양 중심 국가 건설,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 도로 2,007km, 16만ha 관개시설, 주거시설 6,873개, 4개의 신규 공항 등 추진

□ 정보통신산업

  ■ 현황
    - 매년 10% 이상의 성장하는 인니 산업중 가장 높은 성장률 나타내고 있음
    - 4대 통신사가 97% 차지 : Telkomsel(45%), Indosat(22%), Hutchison(18%), XL Axiata(12%)
    - 유선가입자100명당4.2명/무선가입자100명당173명/가구인터넷접속률57.3%
    - 세계 3~5위권의 SNS 사용 국가 : Facebook, Instagram, Twitter 등

  ■ 산업현황
    - (하드웨어) 정부의 광대역 통신망 구축, 통신업체 서비스 확대, 인터넷 보급률 증가 등으로 유․무선 송수신 장비 등 관련 분야 수요 지속 증가
    - (소프트웨어) 통신․금융․공공․미디어 쪽에서 정보기술 서비스 수요 증가

▸ 정보통신기술 산업 규모 : 274억달러(‘19) → 325억달러(’22)
▸ 디지털 경제 규모 : 270억달러(18)로 동남아 최대 규모
  - 온라인 미디어, 온라인 여행사이트, 전자상거래 등

□ 인도네시아 시장 SWOT 분석

  
5.jpg
 

□ 인도네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제언

  ■ Key Point

  ◇ 쉬운 시장은 결코 아니다. 어렵기에 기회 또한 많은 시장
    - 시장 포화, 인프라 부족, 정부정책의 불투명성 등이 주요 애로
    - 기 진출에 성공한 기업도 더 어려운 여건을 견뎌낸 덕분이다
  ◇ 생산요소비용 절감에 큰 기대는 금물
    - 최저임금 지속적으로 인상 (연간 8% 이상)
    - 임금, 전기세, 물류비 등 외에도 각종 Hidden Cost가 많다
  ◇ 자원개발도 임계점에 이르고 있어 다른 시각에서 기회를 찾아야
    - 재벌 서열 3위인 Sinar Mas Group도 팜농장 위해 아프리카 Riberia로
    - 생산성 높은 광산은 선점되고, 자원국수주의로 진출 장벽이 높아간다
  ◇ 강점과 타게팅을 명확히 하고, 시장을 개발해 나가야
    - 소득수준, 시장성숙도, 문화 면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높다
    - 기존 시장은 독과점 상태로 진입장벽이 높고, 신산업 분야(ICT, 서비스 등)는 이제 성장이 시작되는 단계로 편차 심화
    - 시장분석, 정부정책 동향 파악 철저히,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