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열려 > 한인 단체/기관 소식

본문 바로가기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 서울대 아시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7,491회 작성일 21-12-10 08:26

본문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열려

 ‘지역의 인문자산을 생산하고 발굴하여 지역민과의 공유’를 목적으로 서울대 아시아연구소(SNUAC) 지역인문학센터 HK+(Humanities Korea Plus)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 AsIA지역인문학센터가 개최하는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가 지난 11월 11일부터 12일까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에서 열렸다. 올해는 아시아연구소 동남아시아센터와 협력하여 인도네시아 특집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란 타이틀을 내걸고 진행되었다.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비대면으로 진행된 본 행사는 AsIA지역인문학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송출되었다.

사공경 한인니문화연구원장은 인도네시아 지역연구자인 최경희 교수, 고고학을 연구하고 있는 유병록 교수와 함께 <덩실덩실 인도네시아 인문학 축제>의 기획에 참여했다. 본 행사는 ‘누산따라(군도국가)에서 상상의 공동체로’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17,000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인도네시아가 다민족·다언어·다종교의 국가 특성을 극복하고 다양성 속의 통합을 이루는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축제 첫날, ‘인도네시아의 세계문화유산을 보여주다'

박태성 대사 축사 후 사공경·노경래 현지독립연구가의 바틱과 와양 꿀릿 발표에 이어 조태영 前대사 토론 참석 

 

축제 첫날인 11일에는 ‘인도네시아의 세계문화유산을 보여주다'라는 주제로 전문가들의 강연이 펼쳐졌다. 주한인도네시아 대사관의 Zelda Wulan Kartika대사의 개사를 시작으로 권오영 교수(아시아연구소 지역인문학센터 교장)의 환영사와 박태성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의 영상 축사 후 본격적인 강연이 시작되었다. 사공경 한인니문화연구원장의 <인문학으로 만나는 바틱(Batik)과 자바정신>을 시작으로,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인도네시아』의 저자 노경래 작가의 <신이 머무는 그림자, 와양 꿀릿(Wayang Kulit)>, 와양극의 주제인 인도철학 다르마와 까르마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c7adf7e5ff28801648385cd14109aebc_1639099486_9687.png 

 

사공경 한인니문화연구원장의 강의는 바틱의 역사와 바틱에 내재된 자바인의 철학, 지역별 바틱과 문양의 의미, 인도네시아 문화의 아이콘이 된 바틱의 현대화에 대해서 알아보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사공경 원장은 바틱 강의에서 우주에서 보면 ‘적도에 매달린 에메랄드 목걸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에메랄드빛으로 아름답게 빛나는 나라 인도네시아의 ‘다양성 속의 통합’에 가장 중요한 가치는 '고똥 로용’이라고 밝혔다. 또한 바틱 문양에 내재한 자바인의 정신 외에도 ‘다양성 속의 통합’을 위한 기본정신인 ‘고똥 로용’ 정신을 바탕으로 바틱이 ‘자바의 영혼’에서 ‘인도네시아의 아이콘’이 되는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오전 10시30분에 시작한 첫날 행사는 오후 5시 30분까지 이어졌다. 사회를 맡은 최경희 SNUAC 연구교수는 “2009년도에 신설된 아시아문화연구소가 본 행사를 준비할 수 있었던 것은 사공경 한인니문화연구원장의 도움이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일”이라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축제 둘째 날, 토크 콘서트 형식의 강연 진행

c7adf7e5ff28801648385cd14109aebc_1639099515_9838.png 

박재한 재인도네시아 한인회장(사진 주최측 제공)

 

김영선 前 대사의 축사로 열린 축제 둘째 날에는 토크 콘서트 형식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인도네시아정착 100년사를 말하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통해 강연한 박재한 재인도네시아 한인회장은 초창기 한인들의 인도네시아 정착사, 코로나 팬데믹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한인회의 역할을 거론하는 동시에 지난해 재인도네시아 한인회가 출간한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의 의미를 되새겼다.

박재한 한인회장은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 공동체로">는 한인 1세대가 일구어 놓은 터전 위에 삶을 영위하는 인도네시아 한인들의 자부심이 되었다. ‘우리는 누구인가?’를 끊임없이 자문하며 쓴 기록인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한인의 100년을 말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로 이주한 사정은 각자 다르지만 살아온 시대의 가치와 틀 안에서 살아야 했던 삶에 대한 고난과 보람이 담겨있다. 역경을 이기면 경력에 되고 그 역경을 이기는 삶의 이야기가 바로 자신의 정체성이 되듯이 역사 안에서 한 개인의 의미와 존재의 이유, 역사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어왔는지 되돌아보는 의미 있는 작업이 다음 100년을 준비하는 혜안을 줄 것”이라는 말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김문환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 대표집필자는 인도네시아 정·재계 인맥과 한국 기업의 진출 관계와 변곡점에 대해 발표하였다. “한국인 무슬림이 인도네시아 이슬람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인도네시아 최초의 한인유학생이기도 했던 제대식 동명대학교 교수는 발표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종교인 이슬람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서, 이강현 인도네시아 한인상공회의소 수석부회장은 한인무슬림의 삶에 대해 발표를 했다. 

 

둘째 날도 참석한 조태영 전대사는 “축제에 패널로 참석하면서 특정 문화적인 사안들, 개인의 체험 같은 마이크로한 측면의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어 매우 신선했습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라는 나라가 지닌 깊이와 엄청난 다양성을 다시 한번 절감하였으며 양국 간에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2021년 현재 인도네시아는 한류지수 1위이며, GDP규모 세계 16위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경제 규모가 크며 한국과는 수출입 7위로 경제적 교류가 활발하다. 이런 점에서 점차 가까워지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양국의 젊은 유학생들의 진솔한 이야기 역시 들을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각 발표와 토론이 끝난 후, 모든 발표자와 토론자가 모여 한국-인도네시아 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는 종합 토론을 나누며 이틀에 걸친 행사가 마무리되었다. 

 

c7adf7e5ff28801648385cd14109aebc_1639099544_2828.png 

첫째 날 토론 현장(사진 주최측 제공)

 

 

 

* 2021 덩실덩실 AsIA문화축제 "인도네시아 - 누산따라에서 상상의공동체로" - YouTube를 통해 전체 강연 시청 가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인 단체/기관 소식

Total 537건 1 페이지
한인 단체/기관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32 02-13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91 11-08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3 11-07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9 11-07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0 11-07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682 10-08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767 10-08
53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1 05-17
52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9 05-16
52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1 05-15
52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8 05-15
52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9 05-15
52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4 05-15
52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71 05-06
52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2 05-06
52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0 05-06
52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26 05-03
52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21 05-02
51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68 05-02
51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20 05-02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