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편직물 시장 동향 > 코트라 시장정보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편직물 시장 동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104회 작성일 25-10-16 10:44

본문

견고한 내수와 정부 주도의 산업 현대화 전략을 바탕으로 장기 성장 전망

단순 가격 경쟁이 아닌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시장 접근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600622는 면으로된 편물이나 코바늘 뜨개질 원단 중 염색된 품목을 뜻한다.  해당 품목은 염색 과정을 거쳐 의류 제조의 최종 단계에 사용되는 다양한 면 소재의 편직 원단으로서 티셔츠,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 아동복 등 일상적인 의류 및 의복 제조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시장동향 및 규모


HS CODE 600622을 포함하는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시장은 최근 연간 약 30억 달러의 규모를 유지해오고 있다.


<인도네시아 편직물 시장 규모>

(단위: US$백만)

2108013806_1760521223.6654.png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재가공]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시장은 2023년에서 2028년까지 연 평균 5%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시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7번째로 큰 시장이며 가계 소비가 수요의 78.5%로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시장 공급은 주로 인도네시아 현지 업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수입은 전체 시장 규모의 29.5%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시장의 수익성은 생산가치의 35.9%로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시장은 크게 견고한 내수 소비와 정부 주도의 산업 현대화 전략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① 강력한 내수 소비


인도네시아의 약 2억 8000만 명 규모의 인구는 시장 수요를 견인하는 핵심 기반이다. 빠른 도시화로 인해 많은 인구가 글로벌 패션 트렌드에 노출시키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인도네시아의 중산층은 가처분 소득 증가에 따라 의류 및 라이프 스타일 제품 소비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인구의 약 87%는 이슬람교로서 이슬람 패션(Modest Fashion)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통기성, 흡습성 등 기능성 원단에 대한 수요 또한 동반 확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주요 일간지인 KOMPAS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생산 측면에서 이슬람 패션 부문의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당 시장 규모가 연간 300조 루피아에 달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아울러,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은 국내외 브랜드에 새로운 판매 채널을 제공하며 시장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산업 생산량의 약 70%가 내수에서 흡수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② 정부 주도 전략 : Making Indonesia 4.0


인도네시아 정부의Making Indonesia 4.0 전략은 섬유 및 의류 산업을 5대 핵심 우선 산업으로 지정하고 현대화 및 기술 채택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을 통해 인도네시아는 섬유 산업의 연간 5~6% 성장을 목표로 하며 자동화·효율성 제고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해당 계획의 주요 내용으로는 업스트림 단계의 생산 능력 및 품질 향상을 통한 글로벌 마켓 니즈 충족, 노동생산성 향상을 통한 가격 경쟁력 향상, 고부가가치 섬유 생산 등으로 구성된다.


<Making Indonesia 4.0 – 섬유 및 의류산업 발전계획>

2108013806_1760521233.5485.png

[자료: 인도네시아 산업기술연구개발기구(BPPI)]


하지만 위와 같은 요인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현재 구조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중국, 베트남 등 타 국으로부터의 저가 제품 대량 유입으로 인해 현지 생산 가동률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공장은 폐쇄되는 등 가격 중심의 저가 제품 시장은 침체를 겪고 있다.


 수입동향 및 국가별 수입규모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 Code 600622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액은 2021년 3억5686만 달러로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수요 회복과 함께 50% 증가했다. 2022년도 또한 안정세를 보였으나 2023년 28.3% 감소한 2억5346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2024년 전년도 감소율과 유사한 28.4% 회복세를 보이며 반등했다. 이는 2023년 섬유를 포함한 다수 품목에 수입규제를 강화한 정부가 2024년 무역부 규정 제8호를 발표함에 따라 수입 절차가 간소화 되면서 주요 항만에서 묶여있던 대규모 컨테이너 적체 문제가 해결돼 통계상 반등을 견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네시아의 전세계 편직물 수입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이다.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4년 기준 전체 수입량의 39.3%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베트남에서 24.0%를 수입하고 있으며, 뒤이어 한국(18.5%), 홍콩 (15%), 대만(1.3%), 캄보디아(0.7%) 순으로 수입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편직물(HS Code 600622) 수입현황>

2108013806_1760521242.4442.png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2021~2024년 편직물 (HS Code 600622) 수입규모>

2108013806_1760521249.9242.png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경쟁동향


인도네시아의 편직물 산업은 티셔츠, 캐주얼웨어 등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저지 니트를 전체 제조 편직물의 약 40% 이상으로 주력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현지 제조 및 유통사는 아래와 같다.


<편직물 (HS Code 600622) 경쟁사 리스트>

2108013806_1760521257.9767.png

[자료: 각 사 홈페이지, 관련 뉴스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유통구조


HS Code 600622에 해당하는 편직물은 무역부의 규정(No.22/M-DAG/PER/3/2016)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 규정의 핵심 원칙은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제품을 수입하고 유통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현지에 등록돼 있는 법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외국기업은 현지에 직접 판매할 수 없으며 현지 에이전트 및 유통업체와 같은 수입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편직물 (HS Code 600622) 유통구조>

2108013806_1760521267.2112.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600622에 해당하는 편직물은 2025년 무역부 장관령 제 16호 및 제 17호에 따라 아래 두 가지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1. 수입 승인서 (Persetujuan Impor – PI) : 수입자가 NIB(사업자 등록 번호) 기반 발급 받는 수입 허가증으로서 물품을 합법적으로 반입하기 위한 필수 요건

2. 검증기관 검사보고서(LS, Laporan Surveyor) : 정부에서 지정한 검증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선적 전 검사보고서로서 신고된 규격 및 규정 준수여부가 확인된 후에야 수입 및 통관 가능


<HS Code 600622 관세 정보>

2108013806_1760521274.5262.png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시사점


인도네시아 편직물 시장은 견고한 내수 기반과 정부 주도의 산업 현대화 전략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저가 수입품 유입과 산업 구조적 제약으로 단기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고품질·기능성·지속가능성을 갖춘 고부가가치 제품에 기회가 집중되는 전환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고부가가치 중심의 전략적 네트워크를 보유한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고, 이슬람 패션, 기능성 원단 등 유망 분야에 특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현지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유로모니터, 재무부,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KOMPAS,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코트라 시장정보

Total 247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130 01-23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941 01-14
24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6 11:41
24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24 10:45
열람중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5 10:44
24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7 10:36
24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8 10:33
24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3 10:33
23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9 10:32
23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2 10:32
23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0 10:32
23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75 09-29
23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16 09-29
23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44 09-29
23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83 09-29
23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65 09-29
23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73 09-29
23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81 09-24
22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80 09-18
22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08 09-18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