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축산 박람회 2025 참관기 > 인도네시아 소식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축산 박람회 2025 참관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57회 작성일 25-07-10 11:54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goindonesia.net/2205

본문

수라바야 Indo Livestock Expo and Forum 2025 참관기


인구 2억 8000만 명이 넘는 인도네시아는 육류, 유제품 등의 축산물의 고질적인 부족을 겪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소고기와 우유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주요 과제라고 밝혔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매년 약 40만 톤의 소고기를 수입해야 하며, 국내 우유 생산량은 전체 국가 수요인 470만 톤 중 단 21%만을 충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비육, 도축, 우유 생산을 위한 생우 수입 쿼터를 철폐하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다. 이 정책은 지역 농가가 유제품 생산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급망 전반에 걸쳐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향후 5년간 인도네시아는 최대 200만 마리의 생우를 수입할 계획이며, 그중 120만 마리는 유제품 생산에, 80만 마리는 육류 공급에 할당될 예정이다. 이는 산업 관계자들에게 이 분야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행사 개요>

1854552092_1752122730.2378.png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료 종합] 


전시회 개요


Indo Live stock Expo and Forum 2025는 인도네시아 최대의 국제 축산, 사료, 유제품 및 축산 헬스 산업 행사이다. Indo Feed, Indo Dairy, Indo Agrotech, Indo Vet 및 Indo Fisheries Expo 및 포럼과 협력하여 올해 전시회는 2025년 7월 2일부터 4일까지 수라바야의 그랜드 시티 컨벡스에서 개최되었다. 올해는 전시회 18주년을 맞이하며, 축산, 사료, 유제품, 농업, 수의학, 어업, 양식 및 해산물 산업의 최신 발전상을 선보였고, 네트워킹과 지식 공유를 위한 소중한 플랫폼을 제공했다. 중국, 한국, 덴마크를 포함한 유럽 국가 등 15개국에서 300개 기업이 참여하였으며, 3일간 15,000명이 방문하였다.


<전시회 현장 사진>

1854552092_1752122789.7445.png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체 촬영]


주최사 소개


PT. NAPINDO MEDIA ASHATAMA는 1989년에 설립되었으며,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 및 정보기술, 축산 및 사료, 상하수도, 프레젠테이션 기술, 전기공학 및 전력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전시회와 콘퍼런스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 동사는 관련 산업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주요 정부 부처, 대사관, 협회 및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향후 주요 개최 예정인 행사들은 다음과 같다.


• Indo Water Expo & Forum 2025 (2025년 8월 13~15일) 

• Indo Waste & Recycling Expo & Forum 2025 (2025년 8월 13~15일) 

• Indo Renergy & Electric 2025 (2025년 8월 13~15일) 

• Indonesia International Smart City 2025 Expo & Forum (2025년 8월 13~15일) 

• Indo Defence 2026 Expo & Forum

·  Indo Marine 2026 Expo & Forum

·  Indo Aerospace 2026 Expo & Forum

 -웹사이트: https://napindo.com/

 -주소 : Jl. Raya Kalimalang, Ruko Green Terrace Blok 9 F, Pondok Kelapa, Jakarta Timur 13450, 인도네시아

 -전화 : +62 21 864 8124, +62 21 8690 3197


전시 주요 참가기업 소개


1. Farmtec(축산 사료첨가제)


Farmtec은 1999년 설립된 고기능성 사료첨가제 제조, 판매 업체로 제품의 사료효율을 개선시켜주는 제품군을 비롯해 면역기능을 높여주고 체세포 성적을 향상시켜주는 제품군과 면역력 향상과 설사저감 제품군, 축분뇨의 분해 및 암모니아간스를 저감시키는 제품군을 제조 및 판매 중이다. 


2. Adam Poultry(가금류 장비 제조, 수입 및 유통)


Adam Poultry는 1994년에설립되었으며, 30년 이상의 경험을바탕으로 가금류사육 장비, 닭장 설비, 폐쇄형농장, 현대식닭장 등을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는 가금류사육 장비의제조업체이자 수입및 유통업체로서, 특히 산란 닭과육계 사육장비, 케이지장비, 산란닭 케이지, 폐쇄형 닭장 케이지 등을 취급한다. 또한, 영국 HMV Group Plc, 프랑스 SAT, 프랑스 Luxenaier 등 유럽 여러업체와 협력하며, 자사 제품에 유럽기준을 반영하고 있다.


3. PT. Dwi Tunggal Mulia Kimia(산업재)


PT. Dwi Tunggal Mulia Kimia (DTMK)는 1999년에 설립된 회사로, 여러 산업 전반에서 생산에 필수적인 다양한 원자재를 공급한다. 이 회사의 제품에는 산업용 자재, 비료, 용제 및 일반 화학물질이 포함된다. 여러 글로벌 선도 제조업체와 협력하며, 단순한 공급을 넘어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가정용 산업, 농업 분야에 대해 안전성 강화, 라이프스타일 향상, 인류 번영에 기여하는 것을 지향하며, 산업 발전에 힘쓰고 있다.


<주요 참가기업의 현장 사진>

1854552092_1752123074.8624.png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이벤트 및 부대 행사


올해의 프로그램은 B2B 매칭 서비스, 통합 포럼, 신기술 제품 발표, SDTI(우유, 계란, 고기, 어류) 섭취 홍보 프로그램 등으로 꾸며졌다.


<이벤트 및 부대 행사>

1854552092_1752123157.5097.png

[자료: 행사 공식 홈페이지 및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주요 참관기업 및 바이어 인터뷰


1. 해양관리협의회 (Marine Stewardship Council)


수산물 공급망과 수산물 제품에 대한 인증을 제공하는 업체로서, 이번 전시회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인증이 필요한 업체들과의 연계에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 인증은 회사의 이미지를 높이고, 제품 품질을 보증하여 수출입 절차를 용이하게 만든다. 한국에도 관련 지사가 있어, 한국 업체가 인도네시아로 수산물 수입 시 이 인증이 필요하면 절차가 더욱 수월해질 것이라 조언했다.


2. 덴마크관 (덴마크 대사관, 덴마크 농업 및 식품 위원회, 덴마크 수의학 및 식품행정청)


덴마크 국가관은 파트너를 만나기 위해 참여하는 7개 덴마크 기업들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꾸렸으며, 돼지고기 생산(장비 및 생물), 유제품(완제품), 사료 생산 및 재처리용 장비(중장비)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제품 홍보와 프레젠테이션, B2B 미팅을 진행할 수 있어 매우 의미 있었다는 의견을 남겼다.


3. 육우 사료 취급 일반 참관객


동 전시회는 네트워킹에 유익하지만, 주로 가금류 및 농장 관련 부스에 치중되어 있고, 축산 및 원자재 관련 부스는 적은 편이라 앞으로 더 다양한 종류의 부스가 늘어나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을 말했다.


시사점


인도네시아 축산 전시회를 통해 확인한 인도네시아 가축시장은 한국 기업들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인도네시아는 인구가 2억 8000만 명이 넘는 큰 시장으로, 꾸준한 축산물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소고기와 우유의 국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으며, 이는 현지 시장의 상당한 공급 부족을 나타낸다. 특히, 인도네시아 정부가 생우 수입 쿼터를 철폐하고 지역 생산량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수 시장 확대와 수급의 원활화를 기대할 수 있다. 향후 5년간 최대 200만 마리의 생우 수입 계획은 유제품 및 육류 생산량 증대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의 성장을 의미한다.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시장의 전망을 이용하여 여러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첫째, 축산 관련 기술, 설비, 그리고 스마트 농업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인도네시아의 농업 현대화 과정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우수한 품질의 한국산 축산물을 수출하여,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잡을 기회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동 투자 및 기술 이전을 통해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축산 시장은 앞으로 더 많은 성장과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에게는 이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자료: Indo Livestock Expo and Forum 2025 홈페이지,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도네시아 소식

Total 177건 1 페이지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165 01-05
17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8 07-10
열람중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58 07-10
17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54 07-10
17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84 07-10
17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7 07-08
17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97 07-03
17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0 07-01
16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9 06-30
16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2 06-30
16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66 06-30
16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81 04-28
16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08 04-24
16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22 04-22
16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844 04-17
16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150 04-17
16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77 04-17
16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75 04-17
15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83 04-15
15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7 04-15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