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빌드테크 박람회 수라바야 2025 참관기
페이지 정보

본문
인도네시아 최대의 건축 자재, 인테리어, 건축 전시회 참관기
전시회 개요
지난 2025년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수라바야 Grand City Convex 에서 Indo Build Tech 2025가 개최됐다. 동전시회는 인도네시아 최대의 건설, 건축 자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 전시회로 해당 분야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외 기업 100여 개 브랜드가 참가했다. 전시 제품에는 바닥재, 지붕재, 칸막이, 실내외 구조물, 위생 시스템, 온수기, 첨단 장식용 라미네이션 및 마감재 등이 포함됐다.
<인도 빌드테크 2025 개요>
[자료: 인도 빌드테크 공식 홈페이지,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재가공]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주최사 소개
2014년 설립된 PT. DEBINDO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S는 Debindo 그룹 계열사로서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전시 주최사 중 하나이다. 지난 20년간 인도네시아 최대 건축자재 및 인테리어 전시회로 성장한 '인도빌드테크 엑스포(IndoBuildTech Expo)'를 비롯한 성공적인 전시회 개최는 국제 비즈니스 네트워킹과 구축한 파트너십에 기인한다. 향후 주요 개최 예정인 행사들은 다음과 같다.
•Indonesia Licensing & Franchise Export (ILFEX) 2025 (15 – 19 October 2025)
•The 40th Indonesia Trade Expo (15 – 19 October 2025)
•Indonesia Building Technology Expo (IndoBuildTech 2025) Part 2 (6 – 9 November 2025)
웹사이트: https://debindo-ite.com/, https://www.debindo.com/
주소: Jl. KH Abdullah Syafei No.mor No.9, RT.13/RW.5, Bukit Duri, Kec. Tebet, Kota Jakarta Selatan, Daerah Khusus Ibukota Jakarta 12840
전화번호: +62 21 8379 7401
전시회 주요 참가기업 소개
1. PT. Plaswood Bangun Indonesia (https://www.plaswoodindonesia.com/)
PT. Plaswood Bangun Indonesia는 2017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 기반의 민간 기업이다. 이 회사의 설립 목적은 국가 발전과 기술 발전, 그리고 건축 자재 수요 증가를 지원하는 데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천장재, WPC 패널, SPC 바닥재, 벽판재, 폼 보드, 비닐 바닥재, 아코 패널, C&H 패널, 시트 보드 등이 있으며, 대표 제품으로는 PVC 패널 업턴(Upton), 플라스우드(Plaswood), 인도킹(Indoking, 경제형 PVC 천장재), 웨인스코트(Wainscot)가 있다.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2. TOSTEM Indonesia (https://tostemindonesia.com/)
TOSTEM은 글로벌 주택 및 건축 자재 분야의 일본 브랜드이다. TOSTEM에서 전시한 주요 제품으로는 알루미늄 창호 및 도어와 같은 주거용 제품과 외장 제품이다.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3. PT. Tangkas Cipta Optimal (TACO) (https://www.taco.co.id/)
TACO 그룹은 인도네시아 최대의 고압 라미네이트(HPL) 브랜드로, 인테리어 솔루션 제공 분야의 선도 기업 중 하나이다. 주요 제품에는 HPL, 바닥재, 하드웨어 및 접착제 제품이 있다.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4. Onna Kreasi Surabaya (https://verticalblinds.co.id/)
Onna는 올해로 설립 37년을 맞은 인도네시아 기업으로 창문 커버링, 블라인드, 방충망, 파티션, 벽지 등의 제품을 제작 및 판매하며, 현재 자카르타, 세마랑, 수라바야, 바탐에 4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5. DELICA Aluminium Window & Door (https://www.instagram.com/delica_aluminium/)
델리카 알루미늄은 알루미늄 합금 도어 및 창문 제조업체로, 종합 기술 팀을 통해 최신 모델 개발, 디자인, 생산 및 판매를 전문으로 한다.
<전시장 전경>
[자료: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촬영]
이벤트 및 부대 행사
Indo Build Tech 2025는 인테리어 및 건축 테마와 관련된 신제품 발표회, 지식 세미나 및 체험형 예술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참관객들은 참가 기업과 최신 제품, 인도네시아 인테리어 및 건축 트렌드를 알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전시장 부대 행사>
[자료: 인도 빌드테크 공식 홈페이지,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재가공]
현장 인터뷰
동부 자바주 부지사 Emil Elestianto Dardak은 인터뷰에서 이번 전시회는 동부 자바 지역개발계획(RPD) 2025-2026에 명시된 'Gerbangkertosusila Plus area' 지역 개발 추진과 맞물려 전시회 개최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밝혔다. Gresik, Bangkalan, Mojokerto and Mojokerto City, Surabaya, Lamongan, Jombang, Bojonegoro, Tuban 을 포함하는 개발 계획은 현재 인프라 및 지역 개발을 가속화하는 과정에 있다고 언급했다.
시사점
인도네시아의 건축 및 인테리어 시장은 빠른 도시화와 중산층 인구 증가, 대구모 인프라 투자 및 민간 부문의 부동산 개발 확대 덕분에 높은 잠재성을 보이고 있다.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2025년 인도네시아 도시 인구 비중은 약 6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택, 상업 공간, 공공 인프라에 대한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건축 및 인테리어 시장의 성장을 직접적으로 견인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자카르타, 수라바야 등 주요 대도시에서 대규모 주거 단지와 복합 개발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며, 건축 수요 증가에 발맞추어 인테리어 시장도 고급화, 맞춤형 디자인, 친환경 자재 사용 등의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다. 많은 국내기업들은 인도네시아를 떠올릴 때 주로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인도네시아의 제2의 도시인 수라바야와 그를 포함한 동부자바 지역은 동부 자바 지역개발계획(RPD) 2025-2026에 명시된 'Gerbangkertosusila Plus area' 지역 개발 등의 건설 및 인프라 수요가 있어 국내 기업들이 눈길을 돌릴 만한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부 자바와 인도네시아는 잠재력 있는 시장으로서, 시장개척에 성공한다면 더 폭넓은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현지시장 조사와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향후 한국 기업들이 현지 문화와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제품 개발과 함께, 기술력∙품질 차별화를 앞세운 전략적 진출을 통해 인도네시아 건축 및 인테리어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넓혀가기를 기대한다.
자료: Indo Build Tech 홈페이지, Statista,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