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OREA-ASEAN Maritime Week 참관기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 조선해양산업, 2025 KAMW 통해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ASEAN 시장 공략
전시회 개요
<2025 KOREA-ASEAN Maritime Week 개요>
2025 KOREA-ASEAN Maritime Week(이하 2025 KAMW) 는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경상남도,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KOTRA, 경남/부산/한국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 KIORCC, 한국해양대 등이 주관하는 아세안 지역의 대표적인 조선해양플랜트 전시회다. 올해로 5회를 맞이하는 해당 전시회는 조선·해양플랜트 기업의 아세안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양자 간 협력 수요를 발굴하고자, 2025년 인도네시아의 마이스 중심지 발리에서 오프라인으로 7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전시회가 개최됐다. 이후 8월 1일부터 9월 말까지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 참여기업들의 후속상담 및 신규 온라인 참가기관들의 수출상담이 화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전시회에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호주 등 5개의 아세안 국가에서 유력 바이어 40개사가 참여했다.
<2025 KOREA ASEAN Maritime Week 환영사를 하는 이보름 수라바야 무역관장>
[자료: KOTRA 수라바야무역관]
전시회 구성
2025 KAMW는 ▲한-아세안 협력 프로젝트 협의회 ▲1:1 비즈니스 상담회 ▲신기술 및 제품 전시회 ▲아세안 조선·해양플랜트 세미나 ▲온라인 후속 상담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1:1 수출상담회의 경우, 현장에서 워크인 상담까지 포함해 180건에 달하는 오프라인 상담이 진행됐다. 오프라인으로 참석하지 못한 기업들이나, 현장 스케줄상 만남이 성사되지 못한 기업들의 경우 오는 9월 말까지 온라인으로 상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2025 KOREA ASEAN Maritime Week 1:1 수출상담회 현장사진>
[자료: KOTRA 수라바야무역관]
<2025 KOREA ASEAN Maritime Week 조선·해양플랜트 세미나>
[자료 : KOTRA 수라바야무역관]
참가기업 동향
해당 전시회에는 조선 기자재, 해양플랜트, LNG, 선박설계, 내부디자인, 친환경 그린선박, 항해 AI 기술 등 조선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분야의 30개 국내 기업이 오프라인 상담부스로 참여해 180여 건에 달하는 현장 수출상담이 진행됐으며, 추가로 10여 개 기업이 온라인 수출상담회에 참가한다.
아세안에서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그리고 호주 등 6개의 국가에서 40개사에 달하는 조선 해양플랜트 바이어들이 참여했고, 바탐조선해양플랜트협회(BSOA), 베트남 해양 공사(Vietnam Maritime Corporation) 등 주요 국가별 조선협단체들도 참여해 한국 및 타국 참가기업들과의 네트워킹에 힘썼다.
주요 참관기업 및 바이어 인터뷰
- 바탐 조선해양협회(Batam Shipyard & Offshre Association)
인도네시아 조선기자재의 해외조달 비중은 70%에 달하며,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은 언제나 최우선 협력 파트너다. 이번 행사를 바탕으로 한국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을 더욱 늘려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조선·해양플랜트 산업 발전 및 양국 경제 성장에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인도네시아 조선소협회 (IPERINDO)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8년까지 8%의 국가 경제성장률을 목표로 산업부문의 성장기여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조선업에 경우도 현재 GDP 기여율 1%에 불과하나 8% 이상을 목표로 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며, 특히 Green Shipyard 개발을 위한 공동 기술연구 등의 협력도 제안할 수 있다.
시사점
아세안 시장은 조선해양 산업 육성과 환경규제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어, 친환경 선박과 고효율 해양플랜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대표적인 기회 시장이다. 그런 점에서 국가의 기간산업인 조선분야에서 한국과 아세안 지역을 연결하는 KOREA ASEAN Maritime Week에 많은 국내 기업이 참여해 수출 확대 및 성장 모멘텀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길 기대한다.
자료: 한국 해양수산부,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부산시, 경남조선기자재협동조합, KIORCC, PT PAL, KOTRA 수라바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